반응형
UDL, 각종 DB 연결을 위한 Provider string을 알수 없을 경우에
윈도우에는(비 윈도우 계열은 안해봐서.. 비슷한게 있겠지만.ㅋ) UDL 이라는 확장자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.
이렇게 생성한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창이 하나 뜨는데 각종 DB 연결을 위한 설정창이다.
이창에 설정을 기록하고 이 파일을 노트패드 등의 텍스트 편집기로 열어보면..
[oledb]
; Everything after this line is an OLE DB initstring
Provider=Microsoft.ACE.OLEDB.12.0;Persist Security Info=False
위와 같은 내용으로 Provider string 이 작성된다.
( 인터페이스에 작성된 내용을 Provider string으로 변환해서 제공한다는 의미)
Access 라던가 Excel 등 파일에 DB 구조로 접근할때도 매우 유용하다.
1 > UDL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아무거나 만든다.
2 > 더블클릭해서 나타난 창에서 DB 연결을 테스트 해본다.
3 > 성공했으면 해당 파일을 노트패드로 열어본다.
반응형
'개발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SSQL Convert (0) | 2015.04.15 |
---|---|
정규식 간단 예제, 전화번호, URL, 이메일주소 (0) | 2015.04.03 |
Windows server, 멀티 접속?, 원격 시에 같은 계정이 여러개 접속해도 서로 끊지 않게 하는 방법 (0) | 2015.03.26 |
Regex, 정규식,메타문자,수량자,위치지정,특수한문자 정리 (0) | 2015.03.24 |
MSSQL 테이블 정의서 간편 작성 팁. 테이블 리스트, 컬럼 리스트. (0) | 2015.03.24 |